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A 시작합니다. <br>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감사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정조준했습니다. <br> <br>내일부터 코로나 사태 초기 잡음이 일었던, 국산 치료제 개발과 해외 백신 도입 과정 전반에 대한 감사에 착수합니다. <br> <br>사실상 전임 문재인 정부를 겨냥하고 있는 만큼, 전현 정권이 다시 한번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, 강병규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감사원은 내일부터 보름간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대상으로 현장 감사에 들어갑니다. <br> <br>감사원의 식약처 정기감사는 2018년 이후 5년여 만입니다. <br> <br>정부부처에 따르면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당시 코로나 치료제 및 백신 개발 특혜 의혹을 집중 감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2021년 당시 야당은 문재인 정부가 K바이오 성과 홍보를 위해 업체들에게 임상 특혜를 제공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이종성 / 국민의힘 의원(2021년 10월)] <br>"2상 결과가 안 나온 상태에서 3상을 허가한 것이 매우 이례적이고…특히 내년 선거를 앞두고 K-바이오 성과를 내기 위한 것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데요." <br> <br>[김강립 /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처장(2021년 10월) <br>"저희가 다른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서두르거나 하는 것은 전혀 없습니다." <br><br>감사원은 또 특정감사를 통해 해외 백신도입 과정 실태도 들여다 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2021년 당시 대통령까지 나서 속도전을 예고했지만, <br> 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(2021년 1월)] <br>"지금 백신은 충분히 빨리 도입이 되고 있고 또 충분한 물량이 확보가 됐습니다." <br><br>물량 부족으로 백신 접종률은 5개월이 넘도록 30%대에 머무는 백신 보릿고개 사태가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백신 구매과정에서 유효기간이 임박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분량을 사서 무더기 폐기 사태가 벌어졌다는 의혹도 주요 감사 대상입니다. <br> <br>식약처는 "실제 감사가 시작돼야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볼 지 알 수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강병규 기자 ben@ichannela.com